< 목록보기

2017 전미탐사보도협회(IRE) 총회 참관기

by

“뉴욕타임스에선 요즘 오전 편집회의보다 비중이 높아진 회의가 있다. (트럼프)행정부 관련 아이템을
취합해 논의하는 12시 회의다. 현 정부 들어 신설했다. 관련 부서 부장단과 탐사취재부원도 참여한다.
사실로 확인되면 헤드라인으로 뽑을만한 아이템만 10여개 들여다보고 있는데 아직 팩트나 소스가 탄탄
하지 못해 묵히고 있다. 공들인 아이템을 워싱턴포스트에 뺏기지 않을까 아침마다 긴장한다.(웃음)“
-마크 레이시 뉴욕타임스 내셔널 에디터


2011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 총회 이후 두번째였다. 지난 6월22일부터 25일까지 애리조나주 피닉스
에서 열린 2017 전미탐사보도기자협회(IRE) 총회는 이번 미국연수 위시리스트 중 하나였다. 언론재단
탐사보도 디플로마 과정으로 참석한 IRE 2011의 기억은 그만큼 강렬했다. 머리가 하얗게 센 노장 언론
인들이 젊은 기자 틈바구니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취재기법(CAR)에 귀를 기울이고 은퇴 후에도 현역 시절
제기한 정보공개 청구를 끝까지 챙긴다는 얘기는 경이롭기까지 했다. 당시 국민일보 탐사보도팀의 일원
으로 진행하던 ‘국회의원 전원의 정치자금 수입지출보고서 분석’ 작업을 위한 기술적인 조언에 주력했다
면 이번엔 미국 언론인들의 동병상련이 더 크게 다가왔다.


기자를 경멸하는 시청자들


뉴욕타임스 에디터가 말한 정오 회의는 ‘트럼프 때리기’ 목적의 공세적 기획회의가 아니다. 정반대로
정부 비판기사에 평소보다 더 신중을 기하자는 수세적 취지였다. 대통령과 정부가 대놓고 언론을 적대
시하고, 상당수의 국민이 주류언론이 전하는 뉴스를 믿지 않으려 하는 초유의 상황이 별도 편집회의가
시작된 이유였다.


“자유주의 성향의 독자층만을 위한 뉴스를 만들고 싶진 않다. 트럼프 지지자도 보길 원한다. 뉴욕타임스
는 정치적 스펙트럼을 넘어서는 가치를 가져야 한다. 비판의 촉각은 더욱 곤두세우되 누가 읽든 치우침
없이 공정하다고 느끼게 해야 한다. 기자가 객관적일 필요는 없지만 전하는 메시지는 반드시 객관적이어
야 한다.”


‘진실을 향해’라는 제목의 자유토론 형식으로 진행된 이 세션에는 신문을 대표해 레이시 뉴욕타임스
에디터가, 방송에선 리처드 그린버그 NBC 보도국장, 독립언론 대표 격으로 모니카 보어레인 ‘마더존스’
사장이 나왔다.


이들을 한자리로 모은 건 미국 언론이 처한 위기감이었다. 뉴스의 주요 소비경로로 부상한 소셜네트워크
에선 데스킹을 거친 기사와 개인의 날적이가 동급으로 취급된다. 팩트의 유불리와 호불호에 따라 해당
언론사는 물론 기자에 대한 겁박도 서슴지 않는다. 언제는 전성기였나 싶지만 그야말로 기자 수난시대다.
토론 도중 자신이 쓴 기사로 인해 네티즌으로부터 신상정보가 털리는 독싱(Doxxing) 피해 경험을 묻는
질문에 청중으로 앉은 언론인 절반 이상이 손을 드는 진풍경도 연출됐다.


‘불가원(不可遠)의 취재원’ 소셜미디어


닷새간 진행된 IRE 2017 전체 세션 가운데 가장 주목을 받은 건 소셜미디어 취재기법이었다.


  ①구글지도에서 사건 지점을 우클릭한다.
  ②‘여기 뭔일?(What’s here?)’ 항목으로 들어가 위도와 경도가 표시된 지오코드를 복사한다.
  ③트위터 고급검색을 열어 장소 검색창에 붙인다.


이렇게 하면 해당 장소 주변 설정된 거리 내에서 주고받은 소셜네트워크 메시지를 걸러낼 수 있다. 사건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하기 위해 택배 오토바이를 빌려타던 게 엊그제 같은데 스마트폰 검색만으로 현장
기자보다 더 빨리 피해자와 목격자, 주변인까지 찾아낼 수 있게 된 셈이다.


마지막 공식일정으로 정한 IRE 총회를 끝으로 지난 1년간의 미국 연수가 막을 내렸다. 잠시 풀었던 어깨
짐을 다시 지는 부담만큼 의욕도 다져본다. 값진 경험을 허락한 LG상남언론재단과 회사 선후배께 이 자리
를 빌어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