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보기

쓰고 쓰고 또 쓰고… 비닐 봉지의 천국, 미국

by

미국에는 많은 것이 너무 많습니다. 사람도 많고 자동차도 많고, 산도 많고 물도 많습니다. 모든 것이 넘쳐나는 것처럼 보입니다. 대서양에서 시작해 태평양에서 끝나는 엄청난 땅덩어리나, 3억명이 넘는 인구, 그리고 세계 최고인 소비 규모를 생각하면 당연한 일일 수도 있습니다. 보이는 것은, 그야말로 풍족, 그 자체입니다.

하지만 때로는 ‘너무’ 많아도 문제가 되는 법이지요. 오늘은 너무 많아서 문제인 것 하나, 알아볼까 합니다. 우선 퀴즈! 로스앤젤리스 한 가구가 한 해에 1600개, 한 달에 50개, 하루에 4.4개씩 사용하는 이 물건은 무엇일까요? 캘리포니아 전체로 연간 190억개, 미국 전체로는 무려 920억개가 소비되는 이 물건은 과연 무엇일까요? 바로 플라스틱 쇼핑백, 비닐 봉지입니다.

이 곳에서는 물건 두세개 당 비닐 봉지 한 장이 보통입니다. 좀 무겁다 싶으면 봉지 두세 장을 겹쳐 담아주는 게 기본이지요. 캐시어가 있는 계산대는 물론이고 고객이 직접 계산하는 자율 계산대에도 늘 몇 묶음씩 비닐 봉지가 매달려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 수북한 비닐 봉지 묶음을 보고, 이 사람들 정말 이래도 되나, 혼잣말했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품질은 조악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색은 흐릿하고, 너무 얇은 데다 거칩니다. 조금이라도 많이 담았다 싶으면 영락 없이 찢어집니다. 용케 살아남은 놈도 한두 번 더 쓰고 나면 어쩔 수 없을 정도로 망가지곤 합니다. 왜 이러는 걸까, 좀 튼튼하게 만들면 여러 번 재활용 할 수 있게 되고 그만큼 소비량도 줄일 수 있을 텐데… 화가 났던 적도 있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이 곳 사람들 대부분은 이런 지적 자체를 생소해 합니다. 편한 게 뭐가 문제이냐는 거죠. 환경운동가들 조차 비닐 봉지 전면 금지를 주장하지 않습니다. 대신 녹말이 섞인 친환경 플라스틱이나 재생 종이 봉지로, 서서히 교체해 나갈 것을 권고합니다. 환경도 중요하지만 시민들의 편의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게 이유입니다.

게다가 비닐 봉지를 규제하려는 당국의 움직임도, 사실은 거리를 뒤덮는 수많은 봉지를 치우다 지친 데서 비롯됐다는 설이 우세합니다. 캘리포니아의 경우 연간 2500만 달러, 우리 돈 300억원의 예산이 봉지 치우기에 투입된다고 하니 그럴만도 합니다. 환경에 대한 고려가 없지는 않았겠지만 그보다는 예산 문제가 더 직접적이었다는 얘기죠.

이러니 환경 운운하며 비닐 봉지를 금지 또는 제한하자는 법안이 통할 리 없죠. 지난해에도 캘리포니아 의회에서 상정된 법안이 부결됐습니다. 비닐 봉지, 즉 플라스틱 쇼핑백을 만들 때 나오는 온실가스와,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과 기간 등등을 역설한 입법 취지는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해서는 안된다는 간단한 반론에 결국 무릎을 꿇었습니다.

이런 상황은 미국 전역이 마찬가지입니다. 비닐 봉지를 금지하거나 돈 주고 사게 하거나, 아무튼 규제하는 자치 단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숫자나 정도가 보잘 것 없습니다. 제일 큰 곳이 샌프란시스코 정도죠. 주 차원에서 규제하는 곳은 아직 하나도 없습니다. 그나마 육류나 채소 같이 감염되기 쉬운 일차 상품의 경우에는 대부분 규제가 없는 실정이고요.

이쯤 되면 비닐 봉지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게 업체에게는 당연한 일이 되겠죠. 고객이 ‘불편하지 않도록’ ‘적소’에, ‘적기’에 배치하는 것이 관건이 될 것이고요. 비용은 물건 값에 포함시키면 되니까 신경 쓸 일이 아닙니다. 고객이 원하는 것이니 고객이 비용을 대는 게 당연한 거죠. 반품 비용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너무 비싸면 고객들이 싫어할 테니 두께를 줄이고 재질 수준을 좀 낮춰서 비용은 좀 줄어들도록 합니다. 고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면서 또 환경 보호 노력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으니 업체로서는 일석이조가 되죠. 확인할 수는 없지만, 이것이 그동안 이곳저곳 돌아다니며. 묻고 보고 들어 얻은 잠정 결론입니다.

이런 상황은 다른 일회용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햄버거 집, 타코 집, 피자 집은 물론이고, 이 곳에서는 보통 식당에서도 모두 음식을 포장해 줍니다. ‘to go’ 또는 ‘take out’만 외치면 되죠. 먹던 것도 상관 없습니다. 물론 포장재는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스티로폼 재질의 일회용품입니다.

일회용품은 아주 다양하게, 광범하게 사용됩니다. 간단히 말해,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라면 어디서건 일회용품은 빠지지 않는다…할 정도죠. 개인 행사나 교회나 관청의 공공 행사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다보니 어디에서나 쉽고 싸게, 다양한 형태와 수준의 일회용품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단순합니다. 소비자가, 고객이, 시민이 원한다는 거죠.

이곳 사람들도 물론 대부분은 비닐 봉지나 스티로폼 같은 플라스틱 제품의 반환경성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자연 보호나 에너지 절약에 대한 교육도 많고요. 정부나 학교는 물론이고 전기 또는 가스 회사들까지 열심입니다. 자기 돈 들여가며 교육 자재를 만들어 가정이나 학생들에게 배포하기도 하고 에너지 사용 절감 장치를 단 보상으로 요금을 감면해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직은 환경보다는 소비자 편익에 더 무게가 실려 있는 것 같습니다. 소비자가 그걸 원한다는 게 중요하다는 거죠. 소비자 선택은 학습되는 것이라는 마케팅 이론이 걸리기는 합니다만, 어쨌든 상황은 이렇습니다. 그리고 이런 상황은 지구 인구의 4%가 전세계 비닐 봉지 사용량의 20%, 전세계 플라스틱 사용량의 30%를 사용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당장의 편익보다는 환경 보호가 우선이다, 아니면 뚜렷한 대안 없이 편익을 포기할 수는 없다, 어느 쪽으로 가야할까요? 잘 모르겠습니다만, 한가지, 아마도 그 답을 찾는 건 이 문제에 대한 미국인들의 태도를 이해하는 데서 시작될 것이라는 추정은 맞을 것 같네요. 미국의 이 어마어마한 소비 행태를 감안하지 않고서는 논의 자체가 불가능한 일이니까요. 물론, 환경과 편익이 등가를 이루는 해법을 찾아야 한다… 이런 추상적 중도론으로 얼버무려질 가능성이 크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안 그럴까요?

*YTN 김진우 차장은 2010년 7월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에서 연수중입니다. 문의사항은 kimjinoo@ytn.co.kr로 연락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