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보기

미국, 허술하게 보이면 주머니 털리는 나라

by

이제 미국에 온지도 넉 달이 다 되간다. 그동안 꽤 많은 시행착오와 난관(?)이 있었다. 요즘에서야
느끼는 것이지만 그중 대부분은 일관된 패턴을 갖고 있다. 계약을 맺거나 거래를 할 때 이곳 사람들
은 허술하게 보이는 동양인을 속이는 게 일상화 돼 있다. ‘눈 뜨고 코 베인다’는 속담이 딱 맞다.
심지어 물건을 살 때도 항상 조심해야 한다. 내가 겪은 다양한 사례를 소개한다. 이들이 왜 이런 경
향성을 갖게 됐는지도 고민해 봤다.


사례1) 도착 첫 날 공항 인근 렌터카 회사에서 차를 사기 전까지 탈 차를 빌렸다. 이미 인터넷으로
예약을 했기 때문에 차만 찾아 나오면 되는 상황. 차를 내주던 현장 직원이 사고 보험을 ‘최고급형’
으로 들라고 강권했다. 가격 차이를 물었다. 당장은 생각 안 난다며 하루에 몇 달러 차이라는 것이
다. 대부분은 최고급형을 선택한다고 설명했다. 별 의심 없이 서류에 사인. 열흘 뒤, 차를 반납할 때
다. 보험 때문에 생긴 추가 요금이 200달러가 넘었다. 알고 보니 여기 사람들은 최고급형 보험을 들
지 않았다. 가장 저렴한 기본형 보험으로도 대부분 사고는 커버된다는 사실도 깨알 같은 약정을 다
비교해 보고서야 알게 됐다.


사례2) 이제 1년 동안 몰고 다닐 ‘내차’를 사러 딜러 샵을 찾았다. 시승과 비교를 거듭한 끝에 저
렴한 가격에 마일리지도 상대적으로 적은 차를 계약했다. 이번에는 속지 않고 차 보험도 실속형 중에
실속형으로 선택. 마지막 사인을 하려는 순간 다른 직원이 끼어들었다. 사고 시 수리 서비스 계약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간 1000달러부터 2000달러까지 옵션도 제시했다. 전혀 생각지도 않던 지출이
었다. 난색을 표하자 직원은 1000달러라도 서비스가 쓸 만 하다고 설명했다. 본능적으로 깎아야 한다
는 생각에 1000달러도 비싼 것 같다고 우겼다. 10분간 결정을 못 내리고 있으니 800달러로 깎아준다
고 제안을 해오는 게 아닌가. 순간 “이거 반드시 해야하는 것인가요?” 라고 물었고 직원은 머뭇거
리면서 “거의 대부분은 다 한다”고 말했다. 이번엔 속지 않았다. 난 “필요없다”고 잘라 말했고 직원
이 볼펜을 집어던지는 볼썽사나운 광경을 봐야만 했다.


사례3) 미국에서는 차와 관련해 이민자 혹은 체류자의 주머니를 털려는 집요한 시도가 계속된다. 얼
마 전부터 일주일에 한 번씩 우체통에는 시뻘건 글씨의 경고 서신이 오고 있다. 분명 우리 집주소이
고 수신인은 나다. 타이틀은 ‘최후통첩’, ‘마지막 경고’ 같은 식이다. 내용은 하나같이 내차의 정기
서비스 기간이 곧 끝나니 자기 정비소로 와서 정식 점검을 받으라는 것이었다. 정기점검을 마치고 산
지 석 달인데 또 점검? 차를 판 딜러에게 전화를 했더니 답이 가관이었다. “이 나라에서는 그런 ‘낚시
우편’이 많아요. 앞으로 차 관련해서 오는 건 다 쓰레기통에 버리시면 돼요”


사례4) 가장 압권은 인터넷 및 위성TV 서비스. 미국 동부 지역은 Verizon이라는 회사가 거의 서비스
를 독점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장난을 많이 치고 그 정도도 심하다. 요즘 간간히 듣는 얘기는 이 회
사의 농간이 하도 심해서 소비자들이 불편을 무릅쓰고 다른 마이너 업체로 갈아탄다는 것이다.


인터넷 설치는 외국 생활 정착 시 가장 먼저 처리해야 할 것 중 하나다. 이게 돼야 그다음에 집기류등
도 주문하고 각종 예약도 하고 공공요금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Verizon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 집주
소를 말하고 ‘요금 흥정’을 시작했다. 인터넷과 TV를 함께 패키지로 해야 한다고 했다. TV는 뉴스나
애들 만화 정도만 보면 되기 때문에 가장 싼 것을 추천해 달라고 했다. 그런데 직원은 인터넷 속도를
중간으로 할 경우 TV채널을 기본 100개 이상 해야 한다고 우겼다. 이런 난센스가 있나. 가격은 월 125
달러. 한국보다 세 배 정도 비싼 가격이다. 결국 인터넷 속도를 가장 낮은 패키지로 하겠다고 하자 직
원은 ‘경고’했다. “그럼 답답해서 절대 못써요” 난 우겼고 결국 월 83달러로 결정했다.(지금도 인
터넷은 쓸 만하다) 


일주일 뒤 설치 기사가 왔을 때 혹시나 싶어 ‘이 상품이 83달러가 맞냐‘고 물었다. 기사는 탭에서
확인을 해보더니 125달러 상품이라고 말했다. 나는 ‘저항’했지만 기사는 “제 임무는 설치만 하는
겁니다”라면서 집으로 무단침입을 하려는 게 아닌가. 난 폭발했다. 경찰을 부르겠다고 소리를 질러
버렸다. 기사는 머뭇하더니 혹시 83달러로 계약한 메일을 받았냐고 따져 물었다. ‘아뿔싸’. 생각해
보니 메일이 오지 않았다. 당해도 할 말이 없었다. 설치 기사는 하는 수 없이 본사 행정 직원을 연결
해 바꿔줬다. 전후 사정을 들은 직원은 그제서야 83달러 상품으로 바꿔주었다. 확인 메일을 달라고 했
고 메일을 받은 후에야 설치를 허락했다.


Verizon의 횡포는 계속 이어졌다. 석 달 뒤 요금계산서가 왔는데 이번엔 115달러였다. 32달러가 늘어
난 것이다. 항목을 보니 영화채널 등 프리미엄 서비스가 포함돼 있었다. 다시 전화를 걸어 따졌다. “전
영화 볼 시간도 없고 영화를 좋아하지도 않아요. 누가 이거 넣으라고 했나요!” 저쪽에선 미안하다면서
싫다면 빼 주겠다고 했다. 물론 요금계산서도 서비스가 빠진 것으로 다시 받았다. 


사례5) 아마존. 여기 와서 대충 마켓들의 가격을 비교해 보니 역시 인터넷 구매가 가장 쌌다. 자연스
럽게 아마존을 자주 이용하게 됐다. 그런데 한두 달 뒤 은행 계좌 정산을 하다 보니 전혀 항목을 알 수
없는 100달러가 아마존으로 빠져 나갔다. ‘프리미엄’ 서비스였다. 물품 배달을 싸고 정확하게 해주는
일종의 부가 서비스였는데 내가 그동안 샀던 물건들 중 몇 개에 녹색으로 표시됐던 아주 작은 ‘프리미엄’
배너가 바로 그것이었다. 배너와 관련해 어떤 설명도 노출돼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은 ‘물건이 좋다’는
뜻인 줄 알고 그냥 넘어가기 쉽도록 해 놨다. 찾아보니 나처럼 당한 사람이 상당히 많았다. 다소 복잡
하고 귀찮은 ‘프리미엄’ 해제 방법을 인터넷에서 찾았다. 며칠 뒤 100달러가 다시 통장에 입금됐다.       


이 나라에서는 도대체 왜 이럴까. 영국에서도 1년 이상 있어 봤지만 대부분 유럽인들은 늦고 더디더라
도 정직했다. 이런데 여기서는 심지어 농구공 같은 소매품을 살 때도 뭐든 소비자들에게 더 받아 내려
고 혈안이 돼 있다. 20달러짜리 농구공을 사는데 5달러 서비스 보험을 들라고 강권하는 게 이곳이다.
요즘도 보험회사에서 자주 전화가 온다. 가구류 등에 대한 화재보험 때문이다. “우리 집 물건은 다 타도
되요. 돈 나가는 거 한 개도 없어요” 라고 해도 막무가내다. 집주인이 그런 거 안해도 된다고 거들어도
보험 직원의 의욕은 꺾이지 않는다.


미국 경제 사정이 정말 안 좋다. 내가 얻은 결론이다. 어떻게든 소비자에게 더 받아내야 하는 상황. 서비
스 말단에 있는 이들 대부분은 유색인종 이민자들이다. 급여가 낮은 이들은 개별 실적에 절박하게 매달릴
수 밖에 없다. 기본급은 상당히 낮고 개별 실적에 인센티브를 많이 주는 미국의 급여시스템도 한 몫 했다.
제일 쉬운 타겟은 역시 ‘영어는 익숙하지 않지만 돈은 좀 있는’ 동양인이다. 다행이라면 난 돈이 넉넉하지
않아서 시행착오를 줄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