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보기

미국서 학교다니기<5>-학교서 살아남기-시험 얕보면

by

§ 시험 얕보면 큰 코 다친다 §

미국에서 학교를 다니면서 가장 당혹스런 일을 꼽으라면 첫 학기 첫 중간고사다. 수업이 시작되고 약 2개월 정도 지나자 중간고사라는 시험을 치르게 됐다. 그 중에서도 첫 시험은 파이넨스 즉 재무관리 과목에 대한 시험이었다. 과거 학부 다닐 때를 생각하면서 수업시간에 들었던 내용과 노트필기를 중심으로 준비를 했다. 그리고 기출 문제집도 사전에 구입해 연습 문제까지 풀었다. 나름대로 준비하고 시험에 임했다. 과목의 성격상 계산하는 문제가 많이 나왔다. 연습 때는 모두 이해를 했는데 막상 문제를 받아보고 풀려고 하니 눈앞이 막막했다. 도대체 문제자체를 이해하지 못한 문항이 많았다.

세 시간 동안 치러진 시험에서 풀 수 있었던 시험 문제는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대부분 본 것 같은 문제 유형이었지만 문제 유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데다 문제 풀이 연습 부족으로 제대로 풀어내지 못했다.

결국 첫 중간 고사 첫 과목의 점수는 겨우 반타작 하는 데 그쳤다. 원인을 분석해 보니 사전 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 흔히 말하는 족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족보를 구하기는 했지만 설마 문제가 그대로 나올 것인가라는 의심도 있었고 눈으로 대충 흩어보고 실전 연습이 부족했다.

특히 문제가 영어로 나오다 보니 문제의 뜻 자체를 이해하지 못한 문항도 상당수에 달했다. 눈으로 대충 보고 어떻게 되겠지 라는 안이한 생각이 첫 시험에서 고전을 치른 이유였다.

게다가 전략부재도 시험을 잘 못 본 한 원인이었다. 당시 시험에는 1페이지짜리 메모를 소지할 수 있도록 허용됐다. 그 메모는 문제풀이에 필요한 공식을 굳이 암기하지 않고 활용하기 위해 허용됐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처럼 영어시험에 익숙치 않은 학생들에게는 공식도 공식이지만 문제 유형에 따른 문제 풀이 과정이 더 중요했었다. 일부 학생들은 과거 시험 문제와 정답풀이과정을 메모해 톡톡히 덕을 봤다는 후문이었다.
시험 대비를 철저히 하지 못한데다 시험 전략자체도 제대로 짜지 않고 대중 들어갔다가 혼줄이 난 셈이다.

그나마 학점을 메기기 위한 전체 점수에서 중간고사의 반영 비율이 높지않은 것은 불행중 다행이었다. 중간 중간 내준 숙제와 리포트 그리고 사례 발표 등으로 기본점수가 주어진데다 기말고사 반영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중간고사를 잘 못 봤더라도 어느 정도의 학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매일경제신문사 위정환 기자 sunnywi@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