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보기

돌아다니면서 만난 미국의 민권운동

by

제가 머무르고 있는 워싱턴 디시의 관광 사진 목록엔 한결같이’링컨 메모리얼’이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세종대왕 동상과 비슷한 자세로 의자에 정좌하고 있는, 5.8m(19 feet)에 이르는 이 거대한 동상은 늘 북적대는 관광객들로 심심할 날이 없어 보입니다. 저는, 개인적인 미학적 기준에선, 잔잔한 호수(tidal basin)를 바라보며, 후배 대통령들을 감시하는 듯 멀리서 백악관을 응시하고 있는 토머스 제퍼슨 동상을 좋아합니다만, 미국 민권운동의 역사를 상징하는 링컨 메모리얼의 무게감 때문인지 토머스 제퍼슨보다는 링컨을 찾는 사람들이 훨씬 많은 듯합니다. 실제로 미국 역사를 뒤흔든 역사적 사건들은 링컨 메모리얼과 함께했습니다.


1876년 세워진 링컨 기념 동상 .

흑인 최초의 오페라 가수인 마리아 앤더슨은 1939년 4월9일 부활절에 링컨 메모리얼 계단에서 7만5천명의 관중이 참석한 가운데 를 불렀습니다. 본래 앤더슨은 워싱턴 디시의 컨스티튜션 홀(Constitution Hall)에서 연주회를 열 예정이었지만, 이 홀의 주인인 DAR(Daughters of the American Revolution)이란 단체는 앤더슨이 흑인이라는 이유로 공연을 거절했습니다. 당시 대통령 영부인이었던 엘리노어 루즈벨트는 이 소식을 전해 듣고 ‘대노’하여 DAR을 탈퇴합니다. 이때 영부인이 DAR 회장(Mrs. Henry M. Robert)에게 보낸 편지를 얼추 번역해보면,”내가 그동안 그다지 유능한 회원이 아니었기 때문에 내가 탈퇴를 하든 안하든 별 차이 없겠으나, 나는 위대한 아티스트의 공연을 거부한 데 대해 ‘complete disagreement’ 한다” 며 분노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후 24년 뒤인 1963년엔 링컨 메모리얼에서 마틴 루터 킹 목사가 그 유명한 “I have a dream” 연설로 수십만 명의 청중을 감동시켰습니다.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생전에 했던 연설을 정확하지 않게 옮겼다고 하여 논란이 일긴 했지만, 지난 10월 개막식이 열렸던 킹 목사의 동상 “Stone of Hope” 도 링컨 메모리얼과 매우 가까운 거리에 서 있습니다.

워싱턴 디시엔 또한 그 자신이 흑인 노예 출신으로서 노예 해방운동에 앞장섰던 프레데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1818(?)~1895)가 말년(1877~1895년)에 살았던 사저(1411 W st SE, DC)도 있습니다. 흑인 노예인 어머니와 백인 농장주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프레데릭 더글러스는 어떤 정식 교육도 받지 않았지만 스스로 글을 익혀 뛰어난 연설과 글로 노예 해방운동에 앞장섰습니다. 잔혹한 백인 농장주와 맞서다 메릴랜드의 농장을 탈출한 뒤 그는 유럽과 미국을 돌며 감동적인 대중연설로 많은 사람들을 감화시켰습니다. 그는 남북전쟁 때도 흑인들이 참전하도록 독려하는 등 링컨 대통령에게 적극 협조했습니다.


프레데릭 더글러스의 얼굴. ‘Death Mask’.

프레데릭 더글러스는 링컨 대통령이 세상을 떠난 지 11년이 지난 1876년, 디시의 링컨 공원에 세워진’해방자(Freedman’s memorial to Lincoln)’동상 헌납식에서 연설을 했는데, 인터넷에서 찾은 연설 내용 일부를 소개합니다(이 동상은 앞서 말한 링컨 메모리얼과 다른 것입니다). 그는 “링컨은 ‘백인 대통령’이었다. 백인의 이해 관계, 백인과의 교류, 백인의 사고, 백인의 편견을 가진 백인이었다”고 연설의 첫머리를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이어”만약 링컨이 연방제 보전보다 노예제 폐지를 우선했다면 그는 인종분리주의자들의 더 큰 저항을 받았을 것이고 연방제에 충성하는 미국인들의 지지가 없었다면 그 엄청난 전쟁을 무사히 극복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정치인 링컨’을 ‘해명’합니다. 그는 “링컨은 노예 제도가 미국에서 영원히 불가능하도록 했다. 전능하신 하느님도 링컨보다 이 임무에 더 적합한 인물을 지상에 내려 보내지 못했을 것이다. 그는 주저하지 않았고 의심하지도 않았다”며 이 역설적인 연설문을 마쳤습니다. 그의 역동적인 연설 기법이 잘 드러나는 사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프레드릭 더글러스는 66살의 나이에 백인 여성과 결혼해 사회적 논쟁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그는 첫 배우자로 ‘자유 흑인’인 안나 루레이를 마나, 44년 동안 삶을 함께 하면서 고락을 함께 했습니다. 하지만 안나가 죽고 난 지 2년 뒤, ‘백인’ 비서이자 20년 연하였던 헬렌 피츠와 결혼했습니다. 그는 흑인이든 백인이든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결혼하는 것이 옳다는 확신을 가졌기 때문에 헬렌 피츠와의 결혼을 선택할 수 있었던 듯 합니다. 그는 세상을 떠날 때까지 11년 동안 헬렌 피츠와 살았습니다.

워싱턴 디시는 미국 내에서도 흑인 거주자 비율이 매우 높고 크고작은 범죄도 잦은 편이라고 합니다. ‘안전지대’는 디시의 북서쪽(NW)으로 이곳에 백인들이 주로 몰려 삽니다. 반면 위험한 동네로 손꼽히는 동네는 남동쪽(SE)으로, 프레데릭 더글러스의 생가 또한 이곳 남동쪽(SE)에 있습니다. 그의 집이 있는 세다힐(Cedar hill) 언덕배기에 올라보니 곳에 올라보니, 가난한 흑인 동네의 풍경들이 눈앞에 펼쳐지고 포토맥 강변 너머로 국회의사당을 비롯해 디시의 주요한 건물들이 포진해 있었습니다. 프레데릭 더글러스가 만약 현재 세다힐에 살고 있다면 그는 아마도 매일 디시 시내를 내려다보며 흑인들의 경제적 지위 향상에 대해 고민하지 않았을까요.

그의 생가에서 투어 안내를 하는 이에게 물어보니, 더글러스는 강연료와, 저서 인세, 또 말년에 디시의 경찰서장을 지내면서 돈을 모아 이 집을 샀다고 하는데, 21개의 방이 있는 그의 집은 많은 노예해방운동가들의 사랑방으로 쓰여졌다고 합니다. 그 큰 집을 누가 건사했는지 궁금해, 그의 집에도 하인이 있었느냐고 물어봤더니, 출퇴근하는 3명의 흑인 하인이 있었다는 답이 돌아왔습니다.

역시 노예해방론자이지만 프레데릭 더글러스와는 행동의 방식이 달랐던 ‘백인’존 브라운(1800~1859) 역시 미국 민권운동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습니다. 프레데릭 더글러스는 존 브라운과 평등?자유라는 대의에 동조했고 끝까지 돈독한 관계를 맺었으나 존 브라운의 무장투쟁론엔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존 브라운의 격렬한 삶은, 워싱턴 디시에서 자동차로 1시간30분 가량 떨어진, 웨스트 버지니아의 하퍼스 페리에 가면 만날 수 있습니다.


‘백인’ 노예해방운동가 존 브라운.

하퍼스 페리는 셰난도우 강과 포토맥 강이 만나는 곳인데, 사실 오두산 전망대에서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장면에 감격에 젖었던 저로선, 강폭이 작은 셰난도우와 포토맥 강의 만남이 다소 시시해 보였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하퍼스 페리는 민권운동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존 브라운이라는 열렬한 노예해방운동가 때문입니다. 코네티컷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주로 오하이오에서 자랐던 그는 청교도 반 노예주의자였던 아버지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 흑인을 다루는 노예주의 잔혹함을 지켜보면서 더욱 급진적인 태도를 갖게 됐다고 전해집니다.

1850년대 후반 미국에선 캔자스가 새로운 주로 독립할 때, 이를 노예주(남북 전쟁 전에 노예제를 합법적으로 인정한 주)로 할 것이냐 자유주(노예주의 반대 개념)로 할 것이냐를 두고 격렬한 논쟁과 물리적 충돌이 빚어졌는데 존 브라운은 이때 노예제에 찬성하는 백인 이주자 5명을 살해했습니다. 존 브라운은 이에 그치지 않고 1859년 10월, 그의 아들 등 4명과 함께 특공대를 꾸려 하퍼스 페리 병기창을 공격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무기고를 점령한 뒤엔 대규모 노예폭동이 일어날 거라고 기대했지만, 이틀 뒤 미육군 대령이자 이후 벌어진 남북전쟁 당시 남군을 이끌었던 로버트 리(Robert E. Lee)가 하퍼스 페리로 달려와 이들을 격퇴했습니다. 생포된 브라운은 반역-음모-살인 혐의 등으로 기소돼 두 달 뒤인 1859년 12월 교수형에 처해졌습니다. 존 브라운의 병기창 공격은 남북전쟁의 도화선이 됐고, 남북전쟁은 결국 노예해방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는 사형 직전 “나는 이 죄 많은 나라의 범죄는 오직 피로써만 씻길 것이라 확신한다”라는 말을 남겼다고 합니다. 참으로 허술한 전략이었고 허망한 죽음이었지만, 그의 급진적인 행동은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주었습니다.


존 브라운이 1859년 급습했던 하퍼스 페리의 무기고.

우리나라에서 불린 라는 동요는 사실 존 브라운의 격렬한 투쟁과 삶을 기리는 라는 노래입니다. ‘존 브라운, 당신의 몸은 무덤에서 삭을 지라도, 당신의 영혼은 영원히 전진하네'(John Brown’s body lies a-mouldering in the grave, John Brown’s body lies a-mouldering in the grave, But his soul goes marching on)라는 이 노래는 남북전쟁 당시 북군의 군가로 널리 애창됐다고 합니다.

존 브라운이 장렬하게 죽어간 하퍼스 페리는 이후 민권운동의 성지로 거듭났습니다. 20세기 초반 흑인 엘리트들이 중심이 돼 참정권 운동을 펼쳤던 ‘나이아가라 무브먼트’는 1906년 하퍼스 페리에서 두번째 모임을 갖기도 했습니다. 저는 하퍼스 페리 기념관에서, 메리 화이트 어빙턴(Mary White Ovibgton)이라는 한 여기자를 발견했습니다. 의 기자였던 그는 유력 일간지 중에선 가장 열렬하게 나이아가라 무브먼트를 보도했고, 하퍼스 페리 모임도 홀로 유일하게 취재를 했습니다. 백인 여성이었던 그는 나중에 전미유색인지위향상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lored People-NAACP)의 공동 창립자가 됩니다.


흑인민권운동 ‘나이아가라 무브먼트’를 취재했던 의 기자 메리 화이트 어빙턴.

하퍼스 페리는 유색인종을 위한 첫 대학인 스토어 칼리지(Storer College?1865~1955년)가 세워진 곳이기도 합니다. 방 한 칸에서 시작했던 스토어 칼리지는 나중에 학위를 주는 대학으로까지 발전했습니다. 하퍼스 페리에서 가장 높은 언덕(Camp Hill)에 있었던 이 학교는 유적지로 지정돼 건물이 보존돼 있습니다. 학교 바로 옆엔 오래된 공동묘지가 있는데, 저는 지난 10월 이곳을 찾았을 때 이 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이 얼마나 고생을 했을지 상상해보았습니다. 혹시 하퍼스 페리 주민들 반대 때문에 공동묘지 옆에 있는 땅을 간신히 얻은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 추측이 사실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실제로 남북전쟁이 끝나도 흑인들은 여전히 계속되는 차별과 린치로 고생했습니다. 스토어 칼리지 학생과 교사들도 초반부엔 하퍼스 페리 지역 주민들의 괴롭힘에 무척 시달렸다고 합니다.

이제 제가 지난 11월 말 추수감사절 연휴 때 방문했던 필라델피아로 옮겨 가볼까 합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필라델피아엔 ‘자유의 종'(Liberty Bell)이라는 자유-독립-민권을 상징하는 아이콘이 있습니다. ‘이 땅 방방곡곡에 사는 모든 사람들에게 자유를 선언하노라’라는 문구가 새겨진 이 종은 본래 펜실베니아 주의회 의사당에 걸렸던 것으로 1776년 7월 독립선언문의 첫 공표를 축하하기 위해 처음 울렸다고 합니다. 하지만 ‘자유의 종’은 이후 금이 가 더이상 타종할 수 없는 상태가 됐고, 드디어 1976년 원래 종이 걸려있던 의사당에서 100m 가량 떨어진 새로운 건물로 이사를 갔습니다.’자유의 종’은 지금도 여전히 금이 간 상태로 끊임없이 몰려오는 관광객들을 맞고 있습니다.

현재 이 ‘자유의 종’이 전시돼 있는 건물은 미국 건국 초창기 1~2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과 제임스 매디슨이 머물렀던 사저가 있던 곳입니다. 즉 백악관 전신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자유의 종’을 보러 가면, 후대에 발굴한 사저 터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긴 부엌이었고, 여긴 서재였고”하는 식으로 설명이 붙어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이 터를 둘러보면서 매우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습니다. 대통령 사저가 있던 곳이라면 당연히 두 대통령의 치적을 소개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어야 할 텐데, 이곳에 서 있는 안내판들은 그러한 통상적 주제에서 벗어나 있었습니다. 오히려 조지 워싱턴의 경우엔 치부를 자세히 소개합니다. 이는 조지 워싱턴 생가가 있는 워싱턴 디시 근교의 ‘마운트 버논’과 매우 다른 시각입니다. 마운트 버논에선, 워싱턴이 300명의 노예를 거느리면서 얼마나 ‘진지한 농부’로서 살았는가가 자랑스럽게 묘사돼 있는 반면, 필라델피아에선 그가 대통령으로서 9명의 흑인 노예를 거느리고 있었으며 그 중 2명이 도망쳤던 얘기가 매우 상세하게 적혀있습니다. 20대의 여성 노예(오니 저즈 마르타)가 도망치자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자신이 직접 하기엔 창피스럽게 생각했는지 비서인 프레데릭 키트를 시켜 ’10달러 현상금’을 내거는 광고를 내기도 합니다. 그 이듬해인 1797년, 조지 워싱턴이 재선을 끝내고 자신의 사저인 마운트 버논으로 돌아가기 직전엔, 대통령의 요리사일 뿐 아니라 당대 가장 뛰어난 요리사로 불리었던 헤라큘레스까지 달아납니다.


조지 워싱턴의 노예 요리사로 1797년 탈출한 헤라큘레스.

본래 평화와 종교의 자유, 관용을 주장했던 퀘이커 교도 윌리엄 펜이 세운 펜실베니아는 19세기 당시 퀘이커 교도들이 앞장서서 흑인 노예해방운동을 이끌었던 곳입니다. 1837년 결성된 ‘필라델피아 퀘이커 반노예 모임'(Philadelphia Quaker Anti-slavery Society)은 남부의 노예들을 탈출시키는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의 주요 통로가 되기도 했습니다. 필라델피아엔 또한 흑인 최초의 감리교회도 있습니다. 백인 교회들이 흑인 신자들을 맞아주지 않자, 리차드 알렌(Richard Allen)이라는 흑인 등이 힘을 합쳐 1791년 마더 베델(Mother Bethel)이라는 교회를 세웠습니다. 저는 ‘마더 베델’을 보기 위해, ‘자유의 종’ 부근에서 30분 넘게 걸어갔는데 마더 베델이 길 모퉁이에 있는 바람에 발견하지 못하고 그냥 지나쳐버렸습니다. 한참 걷다가 커뮤니티센터 같은 곳을 발견하고, 다소 껄렁껄렁해 보이는 한 흑인 청년에게 ‘마더 베델’이 어디냐고 물었습니다. “웨어 이즈 마더 베델?” 처음에 못알아듣던 그는 제가 서너 번 묻자 좀 생각하다가 “오~ 블랙 처취, 머더 베~쎌”이라며 저와 매우 다른 발음을 했습니다. 그는 길까지 따라 나와 가르쳐주는 친절함을 발휘했습니다. 그로서도, 역사적으로 의미깊은 흑인 교회를 찾아가는 동양인이 내심 반갑지 않았을까 합니다.


필라델피아에 있는 흑인 최초 감리교회

민권운동은 인종차별을 없애는 정치적 운동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문제까지 아우릅니다. 1960년대 디시와 북동쪽(NE) 교외를 잇는 ‘North Central Freeway’반대 운동을 펼쳤던 ‘새미 압둘라 애봇(Sammie Abdullah Abbott?1908~1990년)’이 그러한 경우입니다. 저는 디시 시내에 있는 빌딩 뮤지엄 전시관에서 우연히 ‘새미 압둘라 애봇’이라는 인물을 발견하고 그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시리아 이민자 출신으로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시민운동가였던 새미는 1960년대에 디시의 북동쪽 외곽도시인 타코마 파크(Takoma Park) 주민들과 함께 고속도로 건설에 반대하는 운동을 펼쳤습니다. 당시 그가 만들었던 포스터는 매우 간명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White Man’s Road… Thru Black Man’s Home’. 만약 디시 북동쪽 외곽으로 고속도로가 확장된다면 교외에서 거주하며 디시 시내로 출근하는 백인들에겐 이익이 돌아가지만, 디시 북동쪽 흑인들의 주거지는 ‘백인들을 위한 도로’때문에 집 수백채가 헐려야 하고 아울러 도시(DC Metropolitan) 전체의 균형발전을 가로막게 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었습니다.


시민운동가 새미 압둘라 애봇이 1960년대 고속도로 건설 반대운동을 펼칠 당시 사용한 포스터.

새미 애봇의 노력은 결국 결실을 거둬, 디시 정부는 이후 고속도로 대신’Highway Trust Fund’를 조성해 전철을 건설하게 됩니다. 당시 새미 애봇이 펼친 이 고속도로 저항운동은, 미국 전역의 관심을 모았다고 합니다. 신문에선 타코마 파크의 저항정신을 강조하며 ‘The People’s Republic of Takoma Park’ 라거나 ‘The Berkeley of the East’라고 일컫기도 했습니다. 새미 애봇은 이후 1980~1985년 타코마 파크의 시장도 역임합니다. 저는 타코마 파크에 아직 가보지는 못했지만, 여러 문서를 살펴보면, 그는 시장으로 일하면서 타코마 파크의 지역성을 살리는데 주력했던 듯 합니다. 지역 신문을 창간하고, 집세 안정화 제도를 만들고, 빅토리아 시대에 지어졌던 건물들을 보존하고, 고밀도 개발을 억제하는 대신 구시가지에 활력을 불어넣는 일에 관심을 쏟았습니다. 새미 애봇은 알고보니 ‘지구의 날’을 제정하는 데도 일조한 인물이더군요.

여러 군데를 돌아다니다 보면, 많은 사람들로부터 존경 받는 위인의 전혀 다른 모습을 만나기도 하고 그전엔 전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인물을 발견하게도 됩니다. 그러면서 제가 저 시대에 기자였다면 어떤 기사를 썼을까 머릿속에 그려보게 됩니다. ‘답사 여행’을 좋아하는 저로선, 앞으로도 계속’돌아다니면서 만나는’ 미국의 여러 가지 면모를 좀더 열심히 살펴볼 작정입니다.